수영자료

그랜드 헤킷 & 이안 쏘프의 테크닉 분석-2-1

자야나무 2005. 5. 5. 21:48

플라이어 닷컴.. 민찬홍님 게시글임,

이미지가 너무 작아서 알아보기가 좀 힘듭니다.

또 제게는 너무 세세하고 좀 어렵네요.

그렇더라도 여기 고수분들께서는 한번 읽어보실만할 것 같습니다.

출처는 말미에 붙였습니다.
---------


 

그랜트 해킷과 이언 쏘프의 수영 테크닉 분석

-펠릭스 그뮌더(Felix Gmünder)

들어가는 말
그랜트 해킷과 이언 쏘프의 자유형 수영의 한 싸이클 전체를 수중 비디오 촬영으로 분석하였다.

설명은 1990년대 초반에 러시아(포포프), 호주, 미국에서 발전한 현대의 자유형 테크닉의 관점에 기초하였다.

아래 사진들은 2001년 후쿠오카의 자유형 800미터 결승전에서 촬영된 것이다.

요점을 말하자면, 두 영자는 같은 수영 테크닉을 구사한다.

앞의 논문("쏘프의 번개 같은 속도의 비밀은 무엇인가"라는 같은 웹싸이트에 실린 짧은 글)에서 언급된 것처럼

쏘프와 해킷의 수영에 어떤 비밀 같은 것은 없다.

사실 두 영자는 일찍이 이 웹싸이트에 실렸던 "효율적인 자유형 배우기"(아래 번역 올려져 있음)에서

제시되었던 효율적인 자유형의 원칙을 따르고 있다.

쏘프와 해킷의 차이점들을 지적할 수는 있지만 여기서 논의할만큼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진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그랜트 해킷에 초점을 맞추기로 한다.

물 아래의 각도에서 보면 각 사진에서 윗쪽에 있는 영자가 그이다.




1. 해킷의 수영 싸이클에서 그가 엉덩이와 몸의 회전을 끝내서

오른쪽으로 옆으로 누워 글라이딩하는 자세에 있을 때부터 시작하자.

카메라의 각도 때문에 해킷이 오른편으로 80~90° 기울어져 있다는 것을 거의 알아볼 수 없을 것이다.

엉덩이와 몸을 오른편으로 회전시킨 자세와 오른쪽 어깨와 팔을 앞으로 내밀어 뻗어서

완전히 펴진 몸 자세가 결합된 결과 a) 전진 추진력과 b) 최소화된 전면 저항을 낳는다.

왼팔의 스트로크는 거의 끝나 있다.

 

아래에서 보게 되겠지만 두 수영자는 실제로 팔 스트로크를 완전히 끝내지 않고 엉덩이 근처에서 마무리한다.

해킷의 오른쪽 다리는 위로 움직이는 중간 쯤에 있고 그의 왼편 다리는 아래로 움직이고 있다.

해킷은 킥하는 다리의 발을 지나칠만큼 뻗고 있다 (그의 놀라운 발바닥 휘어짐을 보라).

해킷은 머리를 몸과 동일선상에 둠으로써 (코가 아래로 향하는 자세) 전면 표면 저항을 더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머리를 들고 얼굴을 세운 자세를 취해서 전면 저항이 커진 상태다.

게다가 수영의 한 싸이클 동안 얼굴 들기와 내리기 간에 자세를 바꾸기 때문에 해킷의 몸은

그에 따라서 위 아래로 들락거리는데, 이것은 별로 이롭지 않다.




2. 해킷과 쏘프는 옆으로 누운 글라이딩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해킷의 왼쪽 다리는 아래로 움직이고 오른 다리는 위로 움직이고 있다.

그는 방금 리커버리를 위해서 왼팔을 들어올렸다.

그는 오른 팔을 앞으로 일직선으로 뻗고 있다.

그가 오른쪽 어깨를 앞으로 더 내밀려고 하는 것것과 팔꿈치를 위로한채 뻗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불행히도 이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에서 해킷은 머리와 가슴을 더 들고 있는데, 이것이 전면 저항을 증가시킨다.

몸의 자세는 가능한한 수평으로 길고 좁은 자세로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3. 옆으로 누운 글라이딩 자세.

그의 왼쪽 다리는 거의 최저점에 도달했고, 그의 오른쪽 다리는 최상점에 도달했다.

 (발바닥의 굽어진 정도가 다소 느슨해져 있음을 볼 것).

그의 왼 팔과 왼 손은 (수면 위에서) 어깨를 지나고 있다.

해킷은 이제 막 어깨를 전방-상방으로 내밀고 직선을 유지한채로 비틀므로써

오른쪽 팔꿈치를 수면으로 들어올리려고 하고 있다.

앞서 언급되었듯이, 머리와 상체는 전면 저항을 많이 받는, 별로 이롭지 못한 자세다.

그 결과 해킷의 엉덩이는 약간 떨어져서 이것이 더욱 저항을 증가시키고 있다.

날숨이 끝났다.




4. 해킷은 이제 막 엉덩이와 몸이 오른편에서 왼편으로 빠른 회전을 시작하려 하고 있다.

몸의 회전은

a) 오른 편 다리의 내리차기와

b) 엉덩이의 회전에 의해서 시동되는데, 이 엉덩이 회전은

c) 왼쪽 어깨와 왼팔의 전진 운동량(momentum)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뒤에 (24번) 우리는 엉덩이 회전에서 킥의 역할에 대해서 다시 살펴볼 것이다.

오른편 상박과 손으로 물을 잡는 동작은 재빠른(확 제껴지는, snappy) 롤링이 시작되었을 때 비로소 시작된다.

 

실제로 어깨가 아니라 엉덩이가 몸을 스냅핑하는 엔진이다.

레니 크레이젤버그에 의해서 완벽하게 진술된 것처럼 ("왜 레니 크레이젤버그(주..배영선수)는 그렇게 빠른가" 참조) 

자유형과 배영 영자들은 실제로 그들의 엉덩이로 "스냅" 함으로써 몸을 롤링하는 것으로 경험한다.




5. 해킷은 단 세 프레임만에 스냅핑하는 롤링으로 그의 몸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80-90°) 자세를 바꾼다.

자유형의 한 싸이클 중 3분의 2 동안 두 선수는 모두 팔을 몸과 일직선으로 뻗고

옆으로 누워서 글라이딩하는 자세를 유지한다.

한 싸이클의 3분의 1 동안, 이것은 6비트 킥 패턴을 유지할 때 두 킥에 해당되는데,

그들은 한 편에서 다른 편으로 스냅핑한다.

그 이유는 옆으로 누운 글라이딩 자세가 전면 저항을 최소화하는 자유형 자세이기 때문이다.




6. 쏘프와 해킷의 하이 엘보우 자세는 특히 주목할만하다.

스트로크는 팔뚝과 손을 모두 사용해서 이루어진다.

해킷의 팔꿈치는 거의 수면까지 올라온다.

데크에서 관찰하면 실제로 이것은 당기는 동작은 아니다.

왜냐하면, 해킷의 손은 캐치와 스트로크의 라운딩 사이에서 거의 미끌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약 50cm).

 

쏘프는 미끄러짐이 더 적다 (약 40cm).

미끄러짐을 최소화하는 이유는 쏘프와 해킷 같은 최고의 선수들은

a) 리커버하는 팔과 어깨의 전진 모멘텀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스트로크를 카약에서 노젓기와 비교해보라.

또 두 영자는 모두 b) 좋은 킥을 갖고 있다.

이런 수영 테크닉을 구사하려면 팔 스트로크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점에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리커버리는 천천히 시작해서 어깨를 지나면서 가속된다.

당기는 동작을 너무 강조하려고 하지 말라.




7. 왼쪽으로의 회전이 거의 끝나 있다.

오른편 다리는 채찍 같은 동작의 최저점에 막 도달하는 순간인데,

이것은 발바닥의 굽힘이 느슨해져 있는 것을 보고 알 수 있다.

왼 팔은 막 입수해서 몸의 롤링의 결과로 먼쪽의 벽을 향해서 뻗어지고 있다.

입수 시에 물튀김이나 물거품은 생기지 않는다.

해킷은, 그리고 쏘프의 경우는 더 유명한데,

대개의 현대 자유형 선수들과 마찬가지로 전사분면 수영자이다.

해킷은 날숨을 시작한다 (다음 프레임으로 이어짐).




8. 해킷은 왼편으로 누운 글라이딩 자세에 도달했다.

몸은 거의 일직선이다.

그의 몸이 조금 더 수평으로 균형잡힌 자세가 되었더라면 더 좋았을 것이다.

그는 머리를 척추와 일직선이 되게 하고 코를 아래를 향하게 하고

(또는 자세에 따라서 옆이나 위를 향하고, 단, 앞을 향하는 건 안된다)

가슴을 약간 눌러서 엉덩이가 수면으로 뜨도록 해야 한다.

그의 왼 다리는 몸의 스냅 사이의 킥을 하고 있다.

저항을 줄이고 추진력을 늘리기 위해서 그의 발은 뻗어 있고 발바닥은 굽어 있다.

그의 머리는 몸과 동시에 돈다. 그러나 숨을 쉴 때에만 돈다.




9. 해킷이 어떻게 왼쪽 어깨와 팔을 몸과 일직선이 되도록 뻗고 있는지 주목할 것.

팔을 반대편 벽을 향해서 내뻗고 있다.

뒤통수와 어깨의 간격은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최소화해야 한다.

(앞의 프레임도 참조할 것)




10. 해킷은 날숨을 마쳤다. 시합 시에 그는 오른편으로 숨을 쉬는 편이다.

배우거나 연습할 때에는 양편으로 숨을 쉬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반드시 스트로크 3회 또는 5회마다 숨을 쉴 필요는 없다.

그렇게 하면 공기의 부족으로 스트로크 당 거리를 늘리기가 매우 어렵다.

그 대신 한쪽으로 갈 때에는 오른편으로 숨쉬고 올 때에는 왼편으로 숨쉬는 식으로 하면 된다.

스노클 수영은 숨쉬는 동작이 따로 필요 없으므로 몸의 자세를 교정하는 데 뛰어난 도구로 쓰일 수 있다.


 

2-2에 계속됨,